[Terraform 튜토리얼 1-2] 누가 내 설정 바꿨지? 그래서 필요한 불변 인프라

[Terraform 튜토리얼 1-2] 누가 내 설정 바꿨지? 그래서 필요한 불변 인프라

Immutable Infrastructure(불변 인프라) — 최근 클라우드와 DevOps, IaC(코드형 인프라)에서 자주 등장하는 멋진 용어지만, 실제로 어떤 의미일까요?
그리고 Terraform과 같은 도구에서는 어떻게 활용될까요?

이번 글에서는 Immutability(불변성)이라는 개념이 인프라에서 왜 중요한지, 실무에서는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 Immutability vs. Mutability

Immutability(불변성)이란, 한 번 생성된 대상은 변경하지 않고, 변경이 필요할 경우 전체를 새로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반대로, Mutability(가변성)은 기존 대상을 직접 수정하거나 덮어쓰는 방식입니다.


📸 실생활 예시로 이해하기

  • Immutable 한 대상: 80년대의 폴라로이드 카메라 사진
    → 한 번 찍은 사진은 수정할 수 없습니다. 그 상태 그대로 남아 있죠.
  • Mutable 한 대상: 화이트보드
    → 언제든 지우고, 덧붙이고, 덮어쓸 수 있습니다. 상태는 계속 바뀝니다.

🖥️ 인프라에선 어떻게 적용될까?

🛠️ 전통적인 mutable 방식: 클릭옵스 (ClickOps)

  • 포털에서 클릭으로 VM 생성, 설정 변경
  • SSH 접속해서 직접 설정 수정
  • 콘솔에서 수동으로 리소스 변경
    → 이런 행위들은 전부 mutable 한 작업입니다.

📦 immutable 인프라란?

수동 변경 대신, 코드로 정의된 상태만으로 인프라를 구성하고, 상태가 어긋날 경우 언제든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는 구조

예를 들어:

  • VM 이미지를 미리 Bake 해서 배포 (Packer, AMI)
  • Terraform으로 환경을 코드로 정의하고 Git으로 버전 관리
  • 변경은 직접 수정이 아닌, 새 버전을 정의함으로써 전체 교체

🧱 Terraform과 Immutability

Terraform은 그 자체만으로는 완전한 불변성을 보장하진 않지만, 다음을 조합하면 가능합니다:

  1. HCL 코드: 선언적 정의 = 목표 상태 (desired state)
  2. Terraform Plan: A → B로 가기 위한 실행 계획
  3. Terraform State: 현재 환경 상태를 기록
  4. Git Commit: 코드 변경 이력 = 불변 아티팩트

즉, Git + Terraform이 결합되었을 때, 우리는 인프라의 상태를 스냅샷처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생기면, 마지막으로 잘 작동하던 스냅샷으로 "롤백"이 가능해지죠.


📌 정리하자면

불변 인프라(Immutable Infrastructure)란,
직접 수정하는 대신, 정의된 상태만을 기준으로 인프라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Terraform을 단순히 쓰는 것만으로는 완전한 불변 인프라가 되지는 않지만,
버전 관리된 코드와 이미지 아티팩트를 통해 불변에 가까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다음 글 예고

다음 포스트에선 Terraform 모듈 설계를 깔끔하게 만드는 핵심 개념,
캡슐화(Encapsulation) 이야기를 풀어볼게요.

[Terraform 튜토리얼 1-3] 내부는 감추고, 필요한 것만 보여줘 – 캡슐화란?
Encapsulation, 캡슐화라고 하면 뭔가 개발자스럽고 어려워 보이죠?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할 때나 듣던 단어 같고요. 그런데 이 개념은, Terraform 같은 Infrastructure as Code(IaC)에서도 아주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캡슐화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그리고 “Terraform에서는 어떻게 쓰이는지”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캡슐화, 한 마디로 뭐야? “필요한 것만 보이게 하고, 나머지는 숨기는 것”

Read more

[Terraform 튜토리얼 1-6] 중복 없애다 망한 썰 – DRY 원칙, 정말 항상 맞을까?

[Terraform 튜토리얼 1-6] 중복 없애다 망한 썰 – DRY 원칙, 정말 항상 맞을까?

개발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말, "Don't Repeat Yourself", 줄여서 DRY 원칙. 이건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아주 중요한 원칙이에요. 중복을 줄이면 버그도 줄고, 유지 보수도 쉬워지고, 코드도 깔끔해지죠. 그런데… Terraform 같은 IaC 세계에서도 DRY가 무조건 좋을까요? 🤔 DRY가 뭔데? DRY 원칙의 핵심은 딱 하나: "같은 걸 반복해서 쓰지 마." * 상수 값, 로직, 설정

By Chansong
[Terraform 튜토리얼 1-5] 선언형 vs 명령형: Terraform은 왜 선언형인가?

[Terraform 튜토리얼 1-5] 선언형 vs 명령형: Terraform은 왜 선언형인가?

Terraform을 쓰다 보면 종종 듣게 되는 말이 하나 있어요: Terraform은 "선언형(Declarative)" 도구다. 그런데 이게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명령형(Imperative)"이랑은 뭐가 다르고, 왜 Terraform은 선언형일까요? 🧠 선언형과 명령형, 개념부터 정리 구분 선언형 (Declarative) 명령형 (Imperative) 핵심 개념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만 선언 어떻게 할지를 하나하나 명령 예시 “난 스테이크 먹을래” “고기

By Chansong
[Terraform 튜토리얼 1-4] 모듈이 정리가 안 될 땐, 응집도(Cohesion)를 의심하라

[Terraform 튜토리얼 1-4] 모듈이 정리가 안 될 땐, 응집도(Cohesion)를 의심하라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할 때, 좋은 모듈을 만드는 핵심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응집도(Cohesion)입니다. 이 단어가 좀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우리는 매일 응집도가 높은 시스템 속에서 살고 있어요. ✅ 응집도란? 하나의 모듈이 하나의 책임 또는 기능에만 집중하는 정도 응집도가 높은 모듈은 말 그대로 한 가지 일에만 집중합니다. 그래서

By Chansong
[Terraform 튜토리얼 1-3] 내부는 감추고, 필요한 것만 보여줘 – 캡슐화란?

[Terraform 튜토리얼 1-3] 내부는 감추고, 필요한 것만 보여줘 – 캡슐화란?

Encapsulation, 캡슐화라고 하면 뭔가 개발자스럽고 어려워 보이죠?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할 때나 듣던 단어 같고요. 그런데 이 개념은, Terraform 같은 Infrastructure as Code(IaC)에서도 아주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캡슐화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그리고 "Terraform에서는 어떻게 쓰이는지"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캡슐화, 한 마디로 뭐야? “필요한 것만 보이게 하고, 나머지는 숨기는 것”

By Chan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