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tAPI + SQLModel Postgres DB연동

FastAPI + SQLModel Postgres DB연동 검색해도 잘 안나와서 포스팅 합니다.

 

다음 공식 사이트는 sqlite로 되어 있습니다.

https://sqlmodel.tiangolo.com/

 SQLModelSQLModel, SQL databases in Python, designed for simplicity, compatibility, and robustness.sqlmodel.tiangolo.com

 

postgres연동으로 교체한 후 실행

from typing import Optional

from sqlmodel import Field, SQLModel, create_engine, Session, select


class Hero(SQLModel, table=True):
    id: Optional[int] = Field(default=None, primary_key=True)
    name: str
    secret_name: str
    age: Optional[int] = None


hero_1 = Hero(name="Deadpond", secret_name="Dive Wilson")
hero_2 = Hero(name="Spider-Boy", secret_name="Pedro Parqueador")
hero_3 = Hero(name="Rusty-Man", secret_name="Tommy Sharp", age=48)

# DB 접속 정보
db_host = "your_db_host" # ex) ec2-123-123-123-123.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user = "your_db_user"
password = "your_db_password"

engine = create_engine(f'postgresql://{user}:{password}@{db_host}/your_db_name')


SQLModel.metadata.create_all(engine)

with Session(engine) as session:
    session.add(hero_1)
    session.add(hero_2)
    session.add(hero_3)
    session.commit()

with Session(engine) as session:
    statement = select(Hero).where(Hero.name == "Spider-Boy")
    hero = session.exec(statement).first()
    print(hero)

 

 

결과

DB에 생성

콘솔 출력

Read more

풀스택으로 구현하는 전력 사용량 비교 대시보드: BFF 패턴부터 자동 Fallback UI까지

풀스택으로 구현하는 전력 사용량 비교 대시보드: BFF 패턴부터 자동 Fallback UI까지

전력 사용량 비교 서비스를 구현하며 배운 BFF 패턴, 비동기 병렬 처리, 그리고 사용자 경험 설계 이야기 들어가며 전력 사용량 비교 분석 기능을 개발하면서 흥미로운 고민에 직면했습니다. 클라이언트에게 4가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는데, 각각을 독립적인 API로 개발할지, 아니면 하나의 API로 통합해서 제공할지 결정해야 했습니다. API 설계 방향 결론부터 말하자면, 단일

By Jeonggil.C
Claude Code와 Obsidian MCP 연동 가이드

Claude Code와 Obsidian MCP 연동 가이드

소개 Claude Code는 Anthropic의 공식 CLI 도구로,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통해 다양한 외부 도구와 연동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Claude Code와 Obsidian을 연동하여 AI 에이전트가 여러분의 노트를 읽고 편집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MCP(Model Context Protocol)란? MCP는 AI 모델이 외부 데이터 소스 및 도구와 상호작용할

By Kyeongrok.kim
기술뉴스, 2025-09-25

기술뉴스, 2025-09-25

끝없이 수정하다 AI 성과 무너뜨린다··· ‘둠프롬프팅’의 함정최근 LLM과 AI 에이전트 결과물을 무한 반복 수정하는 ‘둠프롬프팅’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는 성과 저하와 막대한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CIOGrant Gross초보를 위한 Claude Code 안내서Claude Code의 등장으로 코딩의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AI 시대의 개발이란? 개발자의 역할은 무엇일까요?Subicura's BlogsubicuraShould we revisit Extreme

By Hyons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