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song

[Terraform 튜토리얼 1-6] 중복 없애다 망한 썰 – DRY 원칙, 정말 항상 맞을까?

terraform

[Terraform 튜토리얼 1-6] 중복 없애다 망한 썰 – DRY 원칙, 정말 항상 맞을까?

개발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말, "Don't Repeat Yourself", 줄여서 DRY 원칙. 이건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아주 중요한 원칙이에요. 중복을 줄이면 버그도 줄고, 유지 보수도 쉬워지고, 코드도 깔끔해지죠. 그런데… Terraform 같은 IaC 세계에서도 DRY가 무조건 좋을까요? 🤔 DRY가 뭔데? DRY 원칙의 핵심은 딱 하나: "같은 걸 반복해서 쓰지 마." * 상수 값, 로직, 설정

By Chansong
[Terraform 튜토리얼 1-5] 선언형 vs 명령형: Terraform은 왜 선언형인가?

terraform

[Terraform 튜토리얼 1-5] 선언형 vs 명령형: Terraform은 왜 선언형인가?

Terraform을 쓰다 보면 종종 듣게 되는 말이 하나 있어요: Terraform은 "선언형(Declarative)" 도구다. 그런데 이게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명령형(Imperative)"이랑은 뭐가 다르고, 왜 Terraform은 선언형일까요? 🧠 선언형과 명령형, 개념부터 정리 구분 선언형 (Declarative) 명령형 (Imperative) 핵심 개념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만 선언 어떻게 할지를 하나하나 명령 예시 “난 스테이크 먹을래” “고기

By Chansong
[Terraform 튜토리얼 1-4] 모듈이 정리가 안 될 땐, 응집도(Cohesion)를 의심하라

terraform

[Terraform 튜토리얼 1-4] 모듈이 정리가 안 될 땐, 응집도(Cohesion)를 의심하라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할 때, 좋은 모듈을 만드는 핵심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응집도(Cohesion)입니다. 이 단어가 좀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우리는 매일 응집도가 높은 시스템 속에서 살고 있어요. ✅ 응집도란? 하나의 모듈이 하나의 책임 또는 기능에만 집중하는 정도 응집도가 높은 모듈은 말 그대로 한 가지 일에만 집중합니다. 그래서

By Chansong
[Terraform 튜토리얼 1-3] 내부는 감추고, 필요한 것만 보여줘 – 캡슐화란?

terraform

[Terraform 튜토리얼 1-3] 내부는 감추고, 필요한 것만 보여줘 – 캡슐화란?

Encapsulation, 캡슐화라고 하면 뭔가 개발자스럽고 어려워 보이죠?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할 때나 듣던 단어 같고요. 그런데 이 개념은, Terraform 같은 Infrastructure as Code(IaC)에서도 아주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캡슐화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그리고 "Terraform에서는 어떻게 쓰이는지"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캡슐화, 한 마디로 뭐야? “필요한 것만 보이게 하고, 나머지는 숨기는 것”

By Chansong
[Terraform 튜토리얼 1-2] 누가 내 설정 바꿨지? 그래서 필요한 불변 인프라

terraform

[Terraform 튜토리얼 1-2] 누가 내 설정 바꿨지? 그래서 필요한 불변 인프라

Immutable Infrastructure(불변 인프라) — 최근 클라우드와 DevOps, IaC(코드형 인프라)에서 자주 등장하는 멋진 용어지만, 실제로 어떤 의미일까요? 그리고 Terraform과 같은 도구에서는 어떻게 활용될까요? 이번 글에서는 Immutability(불변성)이라는 개념이 인프라에서 왜 중요한지, 실무에서는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 Immutability vs. Mutability Immutability(불변성)이란, 한 번 생성된 대상은 변경하지 않고,

By Chansong
[Terraform 튜토리얼 1-1] 여러 번 눌러도 괜찮아! 멱등성(Idempotence)이라는 개념

terraform

[Terraform 튜토리얼 1-1] 여러 번 눌러도 괜찮아! 멱등성(Idempotence)이라는 개념

인프라 자동화나 Terraform 같은 Infrastructure as Code(IaC)를 접하다 보면 Idempotence라는 단어를 종종 마주하게 되는데요. 처음 들으면 뭔가 굉장히 있어 보이는 용어지만, 사실 우리가 일상 속에서도 자주 겪는 개념입니다. ✅ Idempotence란? 같은 작업을 여러 번 수행해도, 결과가 변하지 않는 성질을 말합니다. 즉, 특정 명령이나 실행을 여러 번 반복해도 결과(시스템

By Chansong